1.1장에서 EC2 인스턴스 (외부에 있는 컴퓨터)를 마련했고, 나만의 고정 IP부여도 했다.
이제 대략 아래와 같은 인스턴스를 볼 수 있을 것이다 (우측에 Elast라고 적힌 부분에서 탄력적IP로 적용된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)
이제 내 컴퓨터에서 이 인스턴스에 접근을 해야한다. 윈도우와 맥에서의 접근방법이 다른데, 주로 맥에서의 접근방법을 다룰 예정이다. 윈도우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거나, putty 사용법을 구글링해서 사용하면 된다.
https://inpa.tistory.com/entry/PuTTy-💿-설치-및-사용법#:~:text=puTTy 텍스트 복사 및 붙여넣기,-① 복사&text=PuTTy 창에서 복사하고,이 복사상태가 된다.&text=PuTTY 창의 명령행에,명령어가 실행이 된다.
연결 인터페이스는 다르지만, 똑같이 SSH 연결이란 작업을 하게 된다
SSH란 Secure SHell의 약자로, 두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소통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의미한다. 직접 사용해보면 이해가 더 쉽다.
우선, 내가 만든 인스턴스에 접근하려면 접근 권한이 있어야 한다
다시 말하지만 인스턴스는 내 컴퓨터가 아니고 저 멀리 있는 컴퓨터이기 때문에, ‘내’가 접근한다는걸 알 수 없다. 어릴 적 게임 아이디를 만들었지만 내 컴퓨터나 PC방 등 다양한곳에서 아이디 비밀번호로 접근해야 한 것과 같다. (내가 게임을 종료한다고 아이디가 사라지지 않는다)
SSH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아이디, 비밀번호가 아닌 권한을 부여하는 특정 파일이 있어야하고, 이를 keypair라고 부른다. 1.1장에서 만들었고, 저장된 경로를 기억했을 것이다.
맥 우측 상단에 검색하기 위한 돋보기를 누르고, terminal 혹은 터미널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
터미널을 띄우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