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H 학회를 해도 아마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툴 중 하나다.
코드를 라인단위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고, 실험하거나 데이터를 시각화해서 보기에 용이한 툴이다.
주피터 사용법은 이미 알고있을 것이라 생각한다
또한 주피터를 띄우는 법 또한 가이드가 인터넷에 너무 많아서 굳이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
참고자료 1: https://sectumsempra.tistory.com/48
참고자료 2: https://velog.io/@ckstn0777/AWS-원격-접속-및-주피터-노트북-사용하기 (windows에서 putty 설정, ec2접근법도 같이 소개되어있음)
참고자료 3: https://deepmal.tistory.com/25#:~:text=AWS EC2 보안그룹에서,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대부분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
<aside> 💡 EC2는 내 컴퓨터가 아니다
처음 EC2를 접할때, 내 컴퓨터에서 접근하다보니 자연스레 연결도 되고 방화벽 연결도 될 것 같고, 주피터도 띄우면 바로 접근이 될 것이라 오해할 수 있다. 하지만 EC2는 엄연히 다른 ‘컴퓨터’ (일반적으로 우리가 쓰는 컴퓨터가 아닌 하드디스크 덩어리)이고 보통 그 컴퓨터는 태평양 섬 어딘가에 위치해 있다. 내가 스타벅스에서 옆사람 컴퓨터에 아무렇게나 접근이 안되듯이, EC2도 아무렇게나 접근이 되지 않는다. 다행이라면 EC2를 다른 경로 (웹사이트나 ssh 연결)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고, 이 경로를 통해 특정 포트만은 내 ip나 모든 ip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수정할 수 있다. (보통 컴퓨터-컴퓨터의 연결은 기기단위로 하지 않고 인터넷 주소인 ip를 통해 하게된다)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