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피터는 실험환경으로는 적합하지만 최종 개발에는 어려움이 있다. 노트북파일 (ipynb)을 제외하면 파일 생성/수정도 편하지 않고, 더욱 고차원적인 개발이나 터미널 사용을 하다보면 여러모로 intelli J, vscode와 같은 IDE보다는 부족하다.
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 컴퓨터에서 주피터에 접근하듯 EC2 서버의 코드를 vscode IDE로 접근하게 해주는 툴이 있다.
https://github.com/coder/code-server
자세한 설명이나 사용법은 깃헙의 리드미에서 확인할 수 있고, 많이 어렵지 않다.
하지만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으니 개인적으로 경험한 설치 과정을 설명한다
설명에 따라 코드서버를 설치하면 터미널 홈에서 code-server라는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.
하지만 비밀번호를 직접 설정하고싶거나 포트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, 혹은 내 컴퓨터에서 접근 가능하게 권한을 수정해야할 수 있으니 아래와 같이 상세를 설명한다
(물론 구글링하면 쉽게 찾을 수 있는 내용들이다)
code-server를 설치했으면, vi ~/.config/code-server/config.yaml
이란 커멘드를 입력하면 코드서버 관련된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.
해당 파일 내용을 대충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